회재(回齋)

빛과 바람 그리고 추억이 돌아오는 곳

 

땅은 나즈막한 심학산의 품에 안겨 사시사철 온화한 기운을 품으며 아름다운 석양을 한가득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러 자연을 오롯이 받아들이는 것 만으로도 좋은 건물이 되기에 충분하겠다는 생각으로 실과 개구부의 위치를 고민하고 배치했다.

 

107평의 땅에 가능 건폐율은 20퍼센트 밖에 되지 않기에 21평의 작은 건축면적 안에서 다양한 기능을 만족하고 쓰임에 모자람이 없기 위해서는 나름의 묘수가 필요했다. 고민 끝에 '집중과 비움'을 방법으로 택했다. 집중된 'ㅁ'정사각형 건물 형태는 각각 공간을 더욱 밀도있게 서로 이어준다. 외피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시공의 효율성을 높이는 장점 또한 가지고 있다.

응집된 정사각형의 공간 안에 하늘을 향해 열린 비움의 공간인 'ㅁ'중정을 배치하여 각 공간의 성격을 구분하는 보이지 않는 오브제로서 역할을 의도한다. 정사각형의 틀 안에서 각 실들의 기능을 모자람 없이 만족하기 위해서 중정의 크기와 위치를 계획된 가구들과 함께 세밀히 조절해가며 모든 공간에 필요한 만큼의 크기와 알맞은 비례를 조절해간다.

'ㅁ' 건물 속 'ㅁ'중정은 모든 공간에 두개 이상의 창호를 설치 가능하도록 하여 자연스러운 공기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는 다양한 시선의 흐름에 따라 사람과 자연을 다양한 모습으로 마주하게 된다.

 

Location : 파주시 서패동/ Seopae-dong, Paju-si 

Year of completion : 2022

Area : 144.89 ㎡ (43.83 py)

Floor : 2층 / 2F

Principal use : 근린생활시설 + 단독주택 / commercial + house

Design team : 최유일, 손유진

Photographs : 권보준, Zstudio 김윤


회재(回齋)

빛과 바람 그리고 추억이 돌아오는 곳

 

땅은 나즈막한 심학산의 품에 안겨 사시사철 온화한 기운을 품으며 아름다운 석양을 한가득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러 자연을 오롯이 받아들이는 것 만으로도 좋은 건물이 되기에 충분하겠다는 생각으로 실과 개구부의 위치를 고민하고 배치했다.

 

107평의 땅에 가능 건폐율은 20퍼센트 밖에 되지 않기에 21평의 작은 건축면적 안에서 다양한 기능을 만족하고 쓰임에 모자람이 없기 위해서는 나름의 묘수가 필요했다. 고민 끝에 '집중과 비움'을 방법으로 택했다. 집중된 'ㅁ'정사각형 건물 형태는 각각 공간을 더욱 밀도있게 서로 이어준다. 외피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시공의 효율성을 높이는 장점 또한 가지고 있다.

응집된 정사각형의 공간 안에 하늘을 향해 열린 비움의 공간인 'ㅁ'중정을 배치하여 각 공간의 성격을 구분하는 보이지 않는 오브제로서 역할을 의도한다. 정사각형의 틀 안에서 각 실들의 기능을 모자람 없이 만족하기 위해서 중정의 크기와 위치를 계획된 가구들과 함께 세밀히 조절해가며 모든 공간에 필요한 만큼의 크기와 알맞은 비례를 조절해간다.

'ㅁ' 건물 속 'ㅁ'중정은 모든 공간에 두개 이상의 창호를 설치 가능하도록 하여 자연스러운 공기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는 다양한 시선의 흐름에 따라 사람과 자연을 다양한 모습으로 마주하게 된다.

 

Location : 파주시 서패동/ Seopae-dong, Paju-si 

Year of completion : 2022

Area : 144.89 ㎡ (43.83 py)

Floor : 2층 / 2F

Principal use : 근린생활시설 + 단독주택 / commercial + house

Design team : 최유일, 손유진

Photographs : 권보준, Zstudio 김윤